발급 받은 검사 코드를 입력해주세요.

진행할 검사를 선택해주세요.
커뮤니티

MI뉴스 | IQ는 인생을 보장해주지 못한다[문용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09-06-09 14:27 조회1,341회 댓글0건

본문

입시철만 되면 똑똑하고  앞길이 창창한  어린 학생들이 자살을 하는 사건이 보도되고,때때로 우리나라의 우수 두뇌들이 모여 있는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이 공부에 대한 압박과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여 목수을 끊기도 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학에 몸담고 있는 필자도 그런 사건을 유심히 보면서, 좌절을 이겨내지 못하는 똑똑한 두뇌들을 안타까워 했다.  필자는 IQ와 정서지능의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했다.
'그들이  만약 IQ가 높은 것처럼 정서지능도 높았더라면  어찌 되었을까?  자신의 힘든 상황을  이겨내고 한국의 국가발전에 기여하며 인류를 위해 공헌할 수 있는 큰 인재로 성장할 수
있지 않았을까? '
IQ가 이해,추리,기억,게산하는 능력인데 비해, 정서지능은 좌절의 상황에서 희망을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이니 말이다.

정서지능은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절제하고 통제하며, 타인들의 감정에 대해 예민하게 느끼고, 인내심을 지속시켜 근심으로 인해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방해받지 않도록 정서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IQ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IQ와 정서지능이 어떻게 다른지 확실하게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제 IQ와 정서지능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사람에게는 저마다 두 가지 능력이 있다. 추리하고 기억하는 이른바 생각하는 능력과, 느끼고 표현하는 정서능력이 그것이다.

그 동안 우리는 인간의 능력을 이야기 할 때면 항상 생각하는 쪽의 능력만을 따졌다. IQ만 좋으면 당연히 만사형통일 것이라는 생각이었다.지난 1900년대 초부터 100여년 동안 사람들의 능력척도는 IQ가 기정사실로 인정되었다. 그래서 IQ가 좋은 사람이 최고라는 생각이 우리들 머릿속에 깊숙히 잠재해 있다.

미국에서 이런 조사를 했다. 세계적인 엘리트들의 집합체인 하버드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럽한 90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20년 후 어떠한 모습으로 살고 있는지 추적해 보았다. 조사결과 하버드대학을 졸업할 당시 받았던 1,2등의 성적표와 사회적인 성공은 전혀 무관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다. IQ가 높다고 해서 사회에서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느냐 하면 그렇지 않다.

삶을 어떻게 가치있게 살 것인가에 느끼고 추리하는 능력과 자연계의 사물을 놓고 추리하는 학문적인 능력은 별개의 능력이다. IQ가 높을수록 인생을 풍요롭게 만드는 도덕성,도덕적 판단력이 더불어 올라가느냐 하면 절대로 그렇지 않다.


내아이 크게 멀리보고 가르쳐라[ 문용린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